* 高山九曲歌(고산구곡가)-李珥(이이)
高山九曲潭 (고산구곡담) : 고산의 아홉 굽이 못을
世人未曾知 (세인미증지) : 사람들은 알지 못하네.
誅茅來卜居 (주모래복거) : 풀을 베고 와 사노라니
朋友皆會之 (붕우개회지) : 친구들이 모두 모여드네.
武夷仍想像 (무이잉상상) : 이곳에 살아보니 무이산이 생각나
所願學朱子 (소원학주자) : 주자의 학문 배우고 싶네.
一曲何處是 (일곡하처시) : 첫째 곡은 어디인가
冠巖日色照 (관암일색조) : 관암에 햇빛 비치도다.
平蕪煙斂後 (평무연렴후) : 편편한 풀밭에 연기 걷힌 뒤
遠山眞如畫 (원산진여화) : 먼 산은 정말 그림 같도다.
松間置綠樽 (송간치녹준) : 소나무 사이에 술잔 차리고
延佇友人來 (연저우인래) : 우두커니 서서 친구를 기다린다.
二曲何處是 (이곡하처시) : 둘째 곡은 어디인가
花巖春景晩 (화암춘경만) : 화암에 봄이 저무누나.
碧波泛山花 (벽파범산화) : 푸른 물결에 꽃잎 떠
野外流出去 (야외유출거) : 들 밖으로 흘러간다.
勝地人不知 (승지인부지) : 이 좋은 곳 남들이 모르는데
使人知如何 (사인지여하) : 이 꽃잎으로 남들이 알면 어쩌나
三曲何處是 (삼곡하처시) : 셋째 곡은 어디인가
翠屛葉已敷 (취병엽이부) : 취병에 벌써 나뭇잎 피었구나.
綠樹有山鳥 (녹수유산조) : 푸른 나무에 산새 놀고
上下其音時 (상하기음시) : 위아래로 산새소리
盤松受淸風 (반송수청풍) : 소나무에 부는 맑은 바람
頓無夏炎熱 (돈무하염열) : 여름의 더운 열기 조금도 모르겠다.
四曲何處是 (사곡하처시) : 넷째 곡은 어디인가
松崖日西沈 (송애일서침) : 송애에 해 넘어 가는구나.
潭心巖影倒 (담심암영도) : 못 가운데 바위 그림자 거꾸로 비쳐
色色皆蘸之 (색색개잠지) : 색색이 다 물 속에 보인다.
林泉深更好 (임천심갱호) : 숲 속 샘은 깊을수록 좋아
遺興自難勝 (유흥자난승) : 그윽한 흥을 이기기 어렵도다.
五曲何處是 (오곡하처시) : 다섯째 곡은 어디인가
隱屛最好看 (은병최호간) : 은병이 가장 보기 좋구나.
水邊精舍在 (수변정사재) : 물가에 정자 있어
瀟灑意無極 (소쇄의무극) : 깨끗하기 그지없다
箇中常講學 (개중상강학) : 그 속에서 항상 배우고
詠月且吟諷 (영월차음풍) : 달을 읊고 시를 읊는다.
六曲何處是 (육곡하처시) : 여섯째 곡은 어디인가
釣溪水邊閣 (조계수변각) : 조계에 누각 있도다.
不知人與魚 (부지인여어) : 모르겠구나, 사람과 물고기
其樂孰爲多 (기락숙위다) : 어느 것이 더 즐거운지
黃昏荷竹竿 (황혼하죽간) : 황혼에 낚싯대 메고
聊且帶月歸 (요차대월귀) : 오로지 달빛 아래 돌아온다.
七曲何處是 (칠곡하처시) : 일곱째 곡은 어디인가
楓巖秋色鮮 (풍암추색선) : 풍암에 가을빛이 선명하구나.
淸霜薄言打 (청상박언타) : 맑은 서리 살짝 스쳐가니
絶壁眞錦繡 (절벽진금수) : 절벽이 정말 수놓은 비단이네
寒巖獨坐時 (한암독좌시) : 찬 바위에 홀로 앉으니
聊亦且忘家 (요역차망가) : 오로지 집으로 돌아갈 일 잊었다.
八曲何處是 (팔곡하처시) : 여덟 째 곡은 어디인가
琴灘月正明 (금탄월정명) : 금탄에 달 밝도다.
玉軫與金徽 (옥진여금휘) : 옥 거문고와 금 거문고로
聊奏數三曲 (요주수삼곡) : 두 서네 곡을 연주한다.
古調無知者 (고조무지자) : 옛 곡조 아는 이 없으니
何妨獨自樂 (하방독자락) : 혼자 즐긴들 무슨 관계리오.
九曲何處是 (구곡하처시) : 아홉 째 곡은 어디인가
文山歲暮時 (문산세모시) : 문산에 한해가 가는구나.
奇巖與怪石 (기암여괴석) : 기암과 괴석이
雪裏埋其形 (설리매기형) : 설리 속에 묻혔으니
遊人自不來 (유인자불래) : 구경꾼들 오지 않고
漫謂無佳境 (만위무가경) : 공연히 좋은 경치 없다 하네.
* 哭退溪先生(곡퇴계선생) 퇴계선생을 곡하며
良玉精金稟氣純 (양옥정금품기순) : 좋은 옥, 순도 높은 금처럼 기질이 순수하시고
眞源分派自關閩 (진원분파자관민) : 도학의 연원은 관민에서 나왔습니다.
民希上下同流澤 (민희상하동류택) : 백성들은 상하에서 같은 은택이 있기를 바라고
迹作山林獨善身 (적작산림독선신) : 자취를 산림에 남기시고 홀로 몸을 잘 보존하셨습니다.
虎逝龍亡人事變 (호서용망인사변) : 호랑이 가고, 용도 없어져 사람의 일 모두 변하고
瀾回路闢簡編新 (란회로벽간편신) : 물결 돌리고 길 여는 몇 권의 책 새로 나왔습니다.
南天渺渺幽明隔 (남천묘묘유명격) : 남쪽 하늘 멀어 아득하고 저승과 이승이 갈리었으니
漏盡腸摧西海濱 (누진장최서해빈) : 서해 물가에서 저는 눈물이 마르고 창자가 꺾어지는 듯 하옵니다
* 滿月臺(만월대) 만월대
下馬披荊棘 (하마피형극) : 말에서 내려 가시밭을 헤치며
高臺四亡虛 (고대사망허) : 높은 누대에 올라 보니 사방은 공허하다
雲山孤鳥外 (운산고조외) : 구름 낀 산은 외로운 새 날아가는 밖에 솟아있고
民物故都餘 (민물고도여) : 백성과 온갖 물건 옛 도읍의 소산이로다.
危砌依林廢 (위체의임폐) : 무너져가는 섬돌은 황폐한 숲에 쓰러져 있고
喬松落影疎 (교송낙영소) : 높은 소나무는 성근 그림자만 비춘다
斜陽照三角 (사양조삼각) : 지는 해가 삼각산을 비추며
指點是王居 (지점시왕거) : 저곳이 바로 임금 사는 곳이라 손짓하네.
* 산중사영(山中四詠)- 산 속의 네가지 노래
二曲何處是 (이곡하처시) : 이곡은 어느 곳인가
花巖春景晩 (화암춘경만) : 꽃핀 바위에 봄빛 저문다
碧波泛山花 (벽파범산화) : 푸른 물결에 산 꽃 띄워
野外流出去 (야외류출거) : 들판 밖으로 흘려 내보낸다
勝地人不知 (승지인부지) : 좋은 경치 사람 알지 못하니
使人知如何 (사인지여하) : 그들이 알게 하면 어떠하기오
* 우음(偶吟)- 우연히 읊다
風月養我情 (풍월양아정) : 바람과 달은 나의 정감 기르고
煙霞盈我身 (연하영아신) : 안개와 노을은 나의 몸을 채워준다
子長吾所慕 (자장오소모) : 자장은 내가 사모하는 분
悅卿吾所親 (열경오소친) : 열경은 내가 가까이하는 사람
非探山水興 (비탐산수흥) : 산수의 흥취를 찾는 것이 아니라
聊以全吾眞 (료이전오진) : 나의 참된 마음을 온전하게 하고자 할 뿐
物我合一體 (물아합일체) : 사물과 내가 한 몸 되니
誰主誰爲賓 (수주수위빈) : 누가 주인이고 누가 손님이런가
湛湛若澄潭 (담담약징담) : 투명하기 맑은 연못과 같고
肅肅如秋旻 (숙숙여추민) : 고요하기 가을 하늘과 같도다
無憂亦無喜 (무우역무희) : 근심도 없고 기쁨도 없으니
此境人難臻 (차경인난진) : 이러한 경지에는 사람들 도달하기 어렵도다
* 무진정하승월정(無盡亭下乘月艇) - 무진정 아래서 배를 타고
江天霽景爽如秋 (강천제경상여추) : 강하늘 개인 경치 가을처럼 상쾌하고
晩泛蘭舟碧玉流 (만범란주벽옥류) : 저녁에 고운 배 띄운 벽옥같은 강물이어라
雲影月光迷上下 (운영월광미상하) : 구름 그림자와 달빛, 위 아래를 모르겠고
美人西望思悠悠 (미인서망사유유) : 고운 사람 서쪽 바라보니, 그리움만 아득하다